🗂️ 개요
1930년 스무트-홀리 관세법과 2018년 이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모두 무역적자 감축과 자국 산업 보호를 목표로 한 대표적 보호무역 사례.
하지만 시대적 배경, 방식, 효과는 서로 달랐음.
🧩 공통점 3가지
- 무역적자 해소 목적
- 둘 다 미국의 대외 무역적자를 줄이고 일자리를 지키려는 목표로 시행.
- 고율 관세 중심의 보호무역
- 외국산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해 국내 산업 보호 유도.
- 해외 보복 초래
- 상대국들로부터 보복관세를 유발해 국제 무역 마찰 격화.
🔍 차이점 3가지
- 경제 상황이 다름
- 스무트-홀리: 대공황 초기 긴급 대응
- 트럼프: 경기 호황기 중 단행된 정치적 전략
- 관세 방식 차이
- 스무트-홀리: 모든 수입품에 전면적 인상
- 트럼프: 선택적 표적 관세 (중국·철강·전자제품 등)
- 성과 차이
- 스무트-홀리: 세계 무역량 66% 감소 → 대공황 심화
- 트럼프: 전체 무역적자는 줄지 않고 오히려 증가, 다만 대중국 적자는 일부 축소
🎯 트럼프 정책의 방향성
- 미국 이익 중심의 일방적 무역 전략
- 다자무역질서 대신 양자협상과 협박성 관세 전략
- 관세를 지렛대 삼아 유리한 무역 조건 재협상 시도
- 결과적으로 무역적자 축소에는 실패, 하지만 이후 행정부까지 강경 대중(對中) 무역 기조가 이어짐
🧾 출처 (요약)
- Politico, Investopedia, FactCheck.org 등 신뢰도 높은 외신 자료
- 미국 백악관 보고서 요약 (2025년 기준)
- Rabobank 경제 리서치 분석 보고서
'경제 > [글로벌] 내가 알고 싶은 경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나스닥 인버스 ETF(SQQQ와 PSQ) 가상 비교 (2) | 2025.04.12 |
---|---|
트럼프의 약점 - 채권 하락 (0) | 2025.04.12 |
U.S. 1930년 스무트-홀리 관세법 (Smoot-Hawley Tariff Act) (0) | 2025.04.09 |
서학개미를 위한 스태그플레이션 대응 포트폴리오 (AI에게 물어보다) (0) | 2025.04.07 |
인텔, 부활할 수 있을까? TSMC와의 경쟁부터 파운드리 전략까지 (1) | 2025.04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