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/[글로벌] 내가 알고 싶은 경제 정보

트럼프는 왜 그러는 걸까? (스무트-홀리 관세법과 트럼프의 관세 정책 비교)

이코노코더 (EconoCoder) 2025. 4. 9. 08:21

🗂️ 개요

1930년 스무트-홀리 관세법과 2018년 이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모두 무역적자 감축자국 산업 보호를 목표로 한 대표적 보호무역 사례.
하지만 시대적 배경, 방식, 효과는 서로 달랐음.


🧩 공통점 3가지

  1. 무역적자 해소 목적
    • 둘 다 미국의 대외 무역적자를 줄이고 일자리를 지키려는 목표로 시행.
  2. 고율 관세 중심의 보호무역
    • 외국산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해 국내 산업 보호 유도.
  3. 해외 보복 초래
    • 상대국들로부터 보복관세를 유발해 국제 무역 마찰 격화.

🔍 차이점 3가지

  1. 경제 상황이 다름
    • 스무트-홀리: 대공황 초기 긴급 대응
    • 트럼프: 경기 호황기 중 단행된 정치적 전략
  2. 관세 방식 차이
    • 스무트-홀리: 모든 수입품에 전면적 인상
    • 트럼프: 선택적 표적 관세 (중국·철강·전자제품 등)
  3. 성과 차이
    • 스무트-홀리: 세계 무역량 66% 감소 → 대공황 심화
    • 트럼프: 전체 무역적자는 줄지 않고 오히려 증가, 다만 대중국 적자는 일부 축소

🎯 트럼프 정책의 방향성

  • 미국 이익 중심의 일방적 무역 전략
  • 다자무역질서 대신 양자협상과 협박성 관세 전략
  • 관세를 지렛대 삼아 유리한 무역 조건 재협상 시도
  • 결과적으로 무역적자 축소에는 실패, 하지만 이후 행정부까지 강경 대중(對中) 무역 기조가 이어짐

🧾 출처 (요약)

  • Politico, Investopedia, FactCheck.org 등 신뢰도 높은 외신 자료
  • 미국 백악관 보고서 요약 (2025년 기준)
  • Rabobank 경제 리서치 분석 보고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