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/[글로벌] 내가 알고 싶은 경제 정보

U.S. 1930년 스무트-홀리 관세법 (Smoot-Hawley Tariff Act)

이코노코더 (EconoCoder) 2025. 4. 9. 08:08

🏛️ 개요

스무트-홀리 관세법은 1930년 미국 대공황 시기, 국내 산업 보호를 목적으로 수많은 수입품에 대해 역사상 최고 수준의 관세를 부과한 법률입니다.
의도는 미국 경제 회복이었지만, 결과는 전 세계 무역 축소 및 대공황 심화로 이어졌습니다.

 

항목 내용
정식 명칭 Tariff Act of 1930 (Smoot-Hawley Tariff Act)
제정 연도 1930년 6월 17일
주요 입안자 윌리스 스무트 (하원의원), 리드 홀리 (상원의원)
목적 미국 내 산업 보호, 농업·제조업 지원
적용 대상 20,000개 이상의 수입 품목
영향 - 다른 나라들의 보복 관세
- 세계 무역량 급감
- 미국 농산물 수출 감소
- 대공황 심화
후속 조치 1934년 상호무역협정법(Reciprocal Trade Agreements Act) 제정 → 자유무역으로 방향 전환

 

⚠️ 부정적 결과

  • 국제적 보복: 캐나다, 유럽 국가들이 미국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무역 분쟁 격화
  • 미국 농민 피해: 수출 감소로 인한 가격 폭락
  • 글로벌 무역 위축: 세계적으로 무역량이 2/3 수준까지 감소
  • 대공황 악화 요인 중 하나로 평가받음

📚 역사적 의미

  • 경제학자 1,000명 이상이 반대 성명서를 냈지만 무시됨
  • 현대에도 "보호무역이 경제를 어떻게 악화시킬 수 있는지"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
  •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을 비판할 때 자주 인용되기도 함

🧠 부가 정보

  • 실제 관세 인상 대상은 약 20,000개 품목에 달함
  • 대통령 허버트 후버는 서명했지만, 당시 경제학자 1,000명 이상이 반대 성명 냈음
  • 이후 1934년 관세법 개정으로 자유무역 방향으로 조금씩 선회하게 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