🏠 스태그플레이션 시기, 부동산 자산에 미치는 영향
영향 요소 | 설명 |
---|---|
물가 상승 | 부동산은 실물자산이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여겨질 수 있음. 따라서 초기에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 있음. |
금리 상승 |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를 인상하면, 대출이자 부담이 커져 수요가 감소하고 부동산 가격에 하락 압력이 작용함. |
경제 침체 | 고용 악화와 소득 감소로 부동산 구매력이 약해짐 → 수요 위축. 거래량 감소 및 가격 조정 가능성 있음. |
임대 수익 변화 | 상업용 부동산은 공실률 증가로 수익이 줄 수 있음. 주거용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지만, 세입자 부담이 커질 수 있음. |
지역 및 유형별 차이 | 인기지역이나 도심 핵심지역은 가격 방어력이 있을 수 있지만, 외곽이나 투기지역은 하락폭이 클 수 있음. |
📉 종합적으로 보면?
- 초기에는 인플레이션 덕에 가격이 오를 수도 있음.
- 하지만 고금리 + 경기침체가 지속되면 수요 위축 → 하락 전환 가능성이 커져.
- 특히 레버리지(대출) 낀 투자자는 타격이 클 수 있음.
🏠 1970년대 미국 부동산 시장 분석 (스태그플레이션 속에서)
항목 | 내용 |
---|---|
배경 | - 1970년대 초·중반: 두 차례의 오일쇼크 (1973, 1979) - 높은 인플레이션 + 낮은 성장률 + 실업 증가 |
주택 가격 추이 | - 초반엔 인플레이션에 따라 부동산 가격 상승 - 특히 1976~1979년 사이 주택 가격 상승률은 연 10% 이상 |
금리의 영향 | - 연방기금금리가 1980년대 초에 20%까지 오름 - 모기지 금리도 16~18%까지 상승 → 주택 구매력 급감 |
주택 거래 시장 | - 금리 급등으로 거래량 급감 - 주택담보대출이 어려워지며 시장 유동성 위축 |
임대시장 반응 | - 주택 구매가 어려워지면서 전세 수요 증가 - 일부 지역에서는 렌트 상승 현상 발생 |
상업용 부동산 | - 금리 부담 + 경기 침체로 인해 투자 수익률 악화 - 일부 대형 빌딩 프로젝트 중단, 공실률 증가 |
지역별 차이 | - 도시 외곽보다는 도심지의 고정 수요가 있는 곳이 더 버팀 - Sunbelt(남부) 지역은 인구 증가로 상대적으로 선방 |
💡 요점 정리
- 초기에는 물가 상승 = 자산 가치 상승으로 이어졌지만,
고금리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수요 위축 + 거래 감소로 전환됨. - 특히 레버리지 기반 투자자들은 모기지 이자 부담이 커지며 큰 어려움을 겪었어.
- 대신 임대 수익 중심의 부동산은 일정 부분 방어력이 있었지 (렌트 수요 증가 때문).
'경제 > [글로벌] 내가 알고 싶은 경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트럼프는 왜 그러는 걸까? (스무트-홀리 관세법과 트럼프의 관세 정책 비교) (0) | 2025.04.09 |
---|---|
U.S. 1930년 스무트-홀리 관세법 (Smoot-Hawley Tariff Act) (0) | 2025.04.09 |
서학개미를 위한 스태그플레이션 대응 포트폴리오 (AI에게 물어보다) (0) | 2025.04.07 |
인텔, 부활할 수 있을까? TSMC와의 경쟁부터 파운드리 전략까지 (1) | 2025.04.06 |
스태그플레이션 과거에는 어땠나 (0) | 2025.04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