🧠 “경기 침체 여부를 알고 싶으면 구리가격을 봐라”는 무슨 뜻?
이 말은 경제 분석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으로, 흔히 “닥터 코퍼(Dr. Copper)”라고도 불린다.
이는 구리가 경제를 진단하는 의사처럼 작용한다는 의미.
왜 하필 구리일까?
- 구리(Copper)는 건설, 전기, 전자제품, 자동차, 기계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서 사용됨.
- 따라서 경제가 활발하면 → 구리 수요 증가 → 가격 상승
경제가 침체되면 → 수요 감소 → 가격 하락
이런 흐름 때문에 구리가격은 일종의 경기 선행지표처럼 여겨진다.
구리가격 움직임의 해석:
- 📈 구리가격 상승 → 경기 회복, 산업 활동 증가 신호
- 📉 구리가격 하락 → 경기 둔화, 수요 감소, 침체 우려
다만, 공급 이슈, 중국 정책, 투기적 거래 등의 영향도 있으니 단일 지표로 단정하는 건 위험함.
📉 현재 구리 가격 추이 (2025년 4월 기준)
✅ 1. 뉴욕상품거래소 (COMEX) 기준
- 4월 17일 종가:
▶ $4.7315 / 파운드 - 연중 최고치 (4월 초):
▶ $5.22 / 파운드 - 🔻 최근 고점 대비 하락세
→ 하지만 여전히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
✅ 2. 런던금속거래소 (LME) 기준
- 현물 가격 (4월 17일):
▶ $9,104 / 톤
✅ 3. 최근 구리가격 변화 요인
- 📉 하락 요인:
- 미국 vs. 중국 무역 긴장
- 공급망 불확실성
- 단기적 투자심리 위축
- 📈 지지 요인:
- 중장기 산업 수요(전기차, 재생에너지 등)
- 주요 투자은행(Citi 등)의 상향된 전망치
📌 구리 가격 전망 (Citi 기준)
기간 | 전망 가격 (톤당) | 비고 |
---|---|---|
2025년 2분기 | $9,000 | 전망치 상향 조정 |
3개월 후 | $8,800 | 기존 $8,000 → 상향 |
'경제 > [글로벌] 내가 알고 싶은 경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&P500, 나스닥, 다우지수 차이 쉽게 설명해드림 (0) | 2025.04.19 |
---|---|
왜 트럼프는 중국에 먼저 손을 내밀지 않았을까? (2) | 2025.04.18 |
빅컷 예고?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시사와 관세전쟁이 불러온 세계경제의 격랑 (0) | 2025.04.17 |
미국이 디폴트 된다면? (2) | 2025.04.16 |
트럼프, 음모론, 그리고 "의도된 세계 대공황"? (0) | 2025.04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