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/[글로벌] 내가 알고 싶은 경제 정보

경기 침체 예측 지표, 구리가격의 비밀

이코노코더 (EconoCoder) 2025. 4. 17. 21:24

🧠 “경기 침체 여부를 알고 싶으면 구리가격을 봐라”는 무슨 뜻?

 

닥터 코퍼가 말하는 경기 침체의 신호

 

 

이 말은 경제 분석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으로, 흔히 “닥터 코퍼(Dr. Copper)”라고도 불린다.
이는 구리가 경제를 진단하는 의사처럼 작용한다는 의미.

 

왜 하필 구리일까?

  • 구리(Copper)건설, 전기, 전자제품, 자동차, 기계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서 사용됨.
  • 따라서 경제가 활발하면 → 구리 수요 증가 → 가격 상승
    경제가 침체되면 → 수요 감소 → 가격 하락

이런 흐름 때문에 구리가격은 일종의 경기 선행지표처럼 여겨진다.

구리가격 움직임의 해석:

  • 📈 구리가격 상승 → 경기 회복, 산업 활동 증가 신호
  • 📉 구리가격 하락 → 경기 둔화, 수요 감소, 침체 우려

다만, 공급 이슈, 중국 정책, 투기적 거래 등의 영향도 있으니 단일 지표로 단정하는 건 위험함.

 


 

📉 현재 구리 가격 추이 (2025년 4월 기준)

 

✅ 1. 뉴욕상품거래소 (COMEX) 기준

  • 4월 17일 종가:
    $4.7315 / 파운드
  • 연중 최고치 (4월 초):
    $5.22 / 파운드
  • 🔻 최근 고점 대비 하락세
    → 하지만 여전히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

 


 

✅ 2. 런던금속거래소 (LME) 기준

  • 현물 가격 (4월 17일):
    $9,104 / 톤

 

✅ 3. 최근 구리가격 변화 요인

  • 📉 하락 요인:
    • 미국 vs. 중국 무역 긴장
    • 공급망 불확실성
    • 단기적 투자심리 위축
  • 📈 지지 요인:
    • 중장기 산업 수요(전기차, 재생에너지 등)
    • 주요 투자은행(Citi 등)의 상향된 전망치

 

📌 구리 가격 전망 (Citi 기준)

 
기간 전망 가격 (톤당) 비고
2025년 2분기 $9,000 전망치 상향 조정
3개월 후 $8,800 기존 $8,000 → 상향